본문 바로가기
건강

허리 통증, 왜 생기고 어떻게 치료할까? — 2편: 디스크형 허리 통증: 척추 사이의 쿠션이 무너질 때

by supergood-info-1 2025. 10. 16.
반응형

지난 글 허리 통증, 왜 생기고 어떻게 치료할까? — 1편: 근육 긴장형 허리 통증에서는 근육 긴장형 허리 통증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그런데 디스크형 허리 통증이라면 문제가 달라집니다. 

 

허리디스크(추간판 탈출증)는 척추 사이의 쿠션이 손상되어 신경을 압박하며 통증을 유발합니다. 허리디스크의 원인, 증상, 비수술 치료법과 운동법을 함께 살펴봅니다.

 

 

목차

 

원인과 증상

다음과 같은 여러 원인이 존재합니다.

 

추간판 탈출 / 돌출: 즉, 허리 디스크라고 하지요. 척추 사이에 있는 디스크가 원래 위치에서 돌출되거나 터지면서 주변 신경을 자극하고 누르니까 허리 + 다리 쪽으로 통증이 확산하고 (방사통) 저림, 감각 이상 증상이 나타납니다.

 

척추관 협착증: 척추 내부의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이 좁아지는 현상입니다. 걷거나 오래 서 있을 때 다리에 당김/저림이 심해집니다. 쪼그려 쉬는 동작을 취하면 통증이 좀 완화되고요.

.

좌골신경통: 척추에서 시작해 엉덩이 → 다리로 내려가는 좌골신경이 자극되어 통증, 전기충격 느낌, 무감각 증상 등이 나타납니다.

.

신경 뿌리염 또는 신경 압박: 디스크 탈출 외에도 뼈의 변화, 후관절 비대, 인대 비대 등으로 신경을 압박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통증은 허리 국소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감각 이상 / 저림 / 근력 약화 등 증상이 다리 쪽으로 내려가며 나타납니다.

 

일상 사례

  • C 씨 (여, 50대)는 허리 통증이 있고 나서 다리 쪽이 저리면서 기지 못할 것 같은 느낌이 생겼고, 걸을 때 쩔쩔맸습니다. 
  • D 씨 (남, 42세)는 허리디스크 진단을 받았고, 앉아 있을 땐 괜찮다가 일어나면 다리 저림이 심해지는 패턴을 보였습니다.

 

치료 및 관리법

다음의 치료 및 관리 방법이 있습니다.
 
보존 치료를 우선으로: 초기에는 수술보다는 약물, 물리치료, 주사, 운동 등 비수술 치료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약물 / 주사 요법 : NSAID, 신경 차단 주사, 스테로이드 국소 주사 등으로 염증이나 압박 통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 / 도수치료: 신경 감압, 자세 교정, 신경 스트레칭 등 병행 실시합니다.

 

신경 차단술 / 경막외 주사: 통증이 심하고 재발이 잦을 때 선택지로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술 치료: 신경 증상이 심각하거나 보존 치료에 효과 없을 경우 추간판 절제술, 후궁 절제술, 척추 융합술 등

 

운동 & 스트레칭 예

허리 통증을 완화하거나 예방하는 운동을 아래와 같이 추천합니다.

 

  • 햄스트링 스트레칭
  • 척추 신전 운동 (등 뒤로 젖히는 동작)
  • 신경 슬라이딩 운동 (Nerve gliding)
  • 브리지, 플랭크 등 코어 강화
허리 통증, 왜 생기고 어떻게 치료할까? — 원인부터 치료법까지 (2) 디스크 & 신경압박
허리 통증 완화를 위한 스트레칭

 

주의 사항 & 재발 방지

  • 증세가 심한 시기에 과한 움직임과 운동은 금지하셔야 합니다.
  • 장기적으로 자세 교정과 체중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지요.
  • 또한 내 몸 상태에 맞는 정기적 운동 습관을 유지하도록 하십시오.
  • 증상 변화가 느껴지면 즉시 전문의 상담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